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금리 등 총정리 2023

Date:

Share post: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금리 등 총정리

매월 70만원을 5년 동안 모으면 5천만원으로 돌려주는 청년도약계좌가 ’23. 06. 15일부터 신청접수를 받습니다. 벌써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16만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사이트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금리 등 총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이 5년 동안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만기 시 5천만원으로 돌려주는 정부지원형 금융상품입니다. 

개인 소득별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원이 달라지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가 6천만원 초과 ~ 7천 5백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정부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를 지원 적용합니다. 

※ 종합소득 기준으로는 6,300만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를 적용함.

청년도약계좌 조건, 가입대상

✔ 나이 조건

– 신규 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 ~ 34세 이하인 청년 

※ 2023년 기준으로 1989년생~2004년생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병역이행을 했을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고 그만큼 기간이 늘어납니다. 

청년도약계좌 사이트

✔ 소득 조건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인 청년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청년  

✔ 가구소득 조건 

–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

내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기 ▶

중위소득 180%

청년도약계좌 신청

✔ 가입신청 은행

: 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전북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1.청년도약계좌 신청 바로가기(안드로이드)

국민은행
바로가기☞
하나은행
바로가기☞
신한은행
바로가기☞
우리은행
바로가기☞
농협은행
바로가기☞
기업은행
바로가기☞
광주은행
바로가기☞
경남은행
바로가기☞
전북은행
바로가기☞
부산은행
바로가기☞
대구은행
바로가기☞
 

2.청년도약계좌 신청 바로가기(아이폰)

국민은행
바로가기☞
하나은행
바로가기☞
신한은행
바로가기☞
우리은행
바로가기☞
농협은행
바로가기☞
기업은행
바로가기☞
광주은행
바로가기☞
경남은행
바로가기☞
전북은행
바로가기☞
부산은행
바로가기☞
대구은행
바로가기☞
 

✔ 가입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는 ’23년 6월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시중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APP)을 통해서 가입가능합니다. 은행 영업일에 가입이 가능하며, 영업시간인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 30분 사이에 비대면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기본금리 + 소득우대금리 + 은행별 우대금리를 모두 더해서 최종 금리가 결정됩니다.

은행별 최대 금리는 6%입니다. 

또한 저소득층 청년(2,400만원 이하 소득)은 우대금리를 부여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입니다. 

최종만기수령액은 본인납입금과 정부기여금, 경과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결정되며,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각 은행마다 이자율과 우대금리가 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적합한 은행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사이트

※ 은행별 기본금리 + 우대금리 현황표

은행별 금리표
은행별 금리
은행별 금리표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조건

  • 언제든지 중도해지 가능합니다. 단, 정부기여금+비과세 혜택이 사라집니다.
  • 재가입 가능 : 해지 후 2개월 경과하면 기여금은 해지 전 가입기간을 차감합니다.
  • 납입하지 않아도 계좌는 유지 가능합니다.
  • 특별중도해지 시 기여금 + 비과세 혜택을 적용합니다.(사유 : 사망, 이주, 퇴직, 폐업, 천재지변,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차이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입대상이 더 늘어났다는 점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인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또는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로 기준을 완화해서 가입대상자를 늘렸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기가 5년이고,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2년으로 더 긴 장점이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시행
- Advertisement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